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8-10-25 16:00:52
  • 수정 2018-10-25 16:03:58
기사수정





이동식주택 정자 남은 자재 '계륵'으로 집짓기



시골서 살다보면 정원을 가꾸는 장비부터 집을 관리할 때 필요한 공구들이 하나둘 쌓입니다. 이것들을 버릴 수는 없고 보관을 해야 하는데 창고가 없으면 관리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시골살이에서는 큰 집보다 큰 창고가 필요합니다.


집을 고치거나 특히 새로 집을 짓고 나면 자잘한 못에서부터 타일, 목재 등 다양한 자재들이 많이 남습니다.


남의 토지를 개발해 주고 집도 지어주는 저 같은 경우에는 사용하고 남는 자재들이 많이 쌓입니다. 필요한 자재의 수량을 잘 계산해 주문하면 좋겠지만 그게 쉽지 않습니다.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모자라면 진행에 지장이 있고, 추가로 주문을 하게 되면 운반비 등 이중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애초에 자재를 시킬 때 넉넉히 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자재가 온전히 남으면 반품도 하지만, 포장을 풀었거나 또 남은 자재의 수량이 많지 않으면 반품하는 것이 번거롭고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포기하게 됩니다. 이런 것들은 보관해야 하는데 그야말로 계륵(鷄肋)’입니다.


삼국지 얘기죠. 유비와 조조가 한중 지역을 놓고 전쟁하는데 시간이 길어졌습니다. 식량은 바닥나고 사기도 떨어지자 도망치는 군사들이 늘어났습니다. 더 이상 나아갈 수도 없고 물러설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조조가 저녁 식사로 나온 닭요리를 먹고 있을 때 장수 하후돈이 들어와 오늘 밤 암호는 무엇으로 할지를 물었습니다.


깊은 생각에 잠겨 있던 조조는 닭갈비를 들어 보이며 계륵으로 하라고 명했습니다. 하후돈은 다른 장수들과 군사들에게 계륵이란 암호를 전달했습니다. 모두가 무슨 뜻인지 몰라 어리둥절할 때 양수란 부하가 웃으며 말했습니다.


계륵이라면 닭갈비입니다. 버리기는 아깝지만 먹을 것도 없소. 승상께서는 한중 땅을 유비에게 내주기는 아깝지만 이득이 없으니 곧 철수할 생각으로 암호를 계륵이라 했소. 모두 짐을 꾸리는 것이 좋겠소.”


이 말을 들은 조조는 양수가 자기 속마음을 너무 잘 알아 놀랐습니다. 양수를 살려 두면 위험하다는 생각이 들어 군을 어지럽혔다는 죄를 씌어 양수의 목을 쳤습니다. 그 얼마 뒤 조조는 양수의 예측대로 철수합니다.


집 짓다 남은 자재도 버리자니 아깝고 보관하자니 번거로운물건이 되죠. 그래서 삼국지의 고사 계륵이 생각납니다.


조조는 계륵이었던 한중을 버렸지만, 집주인들은 남은 자재를 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남은 자재 하나하나만 놓고 보면 기능이나 성능은 모두 완벽합니다. 그렇게 멀쩡한 것을 버리자니 사실 많이 아깝죠. 그래서 보관하게 됩니다.







오늘 소개하는 집은 전시품으로 이용하던 이동식주택과 정자 그리고 모아 놓았던 쓰다 남은 자재들을 응용해 짓는 30평형 카페입니다. 물론 새로 구입한 자재가 더 많습니다.


집은 홀과 주방, 화장실, 다용도실, 정자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요. 주방과 화장실, 다용도실은 전시품으로 사용하던 8평형 이동식주택 하나를 설치해 해결했습니다. 이동식주택 지붕 위쪽은 다락방을 만들고 그 앞쪽으로 중목구조로 넓은 홀을 달아냈습니다.


홀의 벽체는 70두께로 가공한 통나무를 쌓았고 외부에 단열을 한 후 마감했습니다. 통나무는 집짓기 교육 실습용 자재로 사용하던 것을 재활용했습니다. 천정은 낙송합판을 덮은 후 지붕은 250두께의 징크패널로 마감했습니다. 전망을 살리기 위해 창을 크게 냈는데 창호는 3중 유리 독일식 시스템창호로 했습니다.


앞쪽으로 통나무로 쌓아 만든 정자를 두었고 그것과 연장해 앞쪽으로 넓은 데크를 만들었습니다.



현관 계단이나 실내 다락으로 올라가는 계단재 등은 다른 집을 지으며 사용하던 철재를 재활용했습니다. 외부 데크 난간대도 철재로 했는데 역시 다른 곳에서 난간대로 사용하다 남은 것을 사용했습니다.


화장실 벽은 편백루버로 마감했습니다. 바닥은 타일로 했는데 여기저기서 남은 타일을 조금씩 모아 사용했기 때문에 통일감은 없습니다. 이 집짓기는 현재 홀 바닥과 조명만 남겨두고 있습니다.



* 전원생활 문답


[] 이동식주택을 설치할 때 바닥기초는 어떻게 하나요?


[] 다양한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주택용도가 아니고 간단하게 사용하는 것이라면 맨땅에 올릴 수도 있고, 기둥 몇 개만 놓고 그 위에 놓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제대로 설치를 해야 하고 특히 정상적인 주택으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집이 바닥에 고정이 돼 있어야 합니다. 그러려면 기초콘크리트 바닥 시공 후 설치해야 좋겠죠.

이동식주택을 현장에 설치를 할 때는 바닥 설비(수도, 정화조 등)와 이동식주택 내부 설비의 관계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동식주택은 실내 설비(수도, 정화조, 전기 등)를 완벽히 한 후 현장 이동 후 설치하는데요. 현장에 설치할 때 바닥설비와 실내설비를 잘 맞춰야 하고 하자 없이 해야 합니다.


[] 집 짓고 남은 자재 주인은 건축주인가요? 아니면 시공업체 것인가요?


[] 주인이 손수 집을 짓는다면 이런 고민을 할 필요는 없을 겁니다. 그런데 건축업체에 맡겨 집을 짓는다면 남는 자재 주인이 누구인가를 두고 가끔 다툼이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건축업체에 맡겨 지을 때는 업체는 주인과 계약한 대로 집을 납품만 하면 됩니다. 이때 사양에 맞는 자재를 알아서 주문해 쓰는데요. 공사 진행을 위해 좀 넉넉히 남게 시킵니다. 남는 것은 업체에서 알아서 반품을 하거나 처리를 하게 됩니다.

집 주인인 직접 집을 짓든가 시공업체와 계약할 때 자재를 사 주는 것으로 하여 공사만 맡겼다면 남는 자재는 당연히 집 주인 것이겠지만, 도면만 주고 집 전체를 알아서 지어달라고 맡겼다면 남는 자재는 건축업체 것이 되겠죠.


[] 남은 자재로 집을 지으면 하자는 없나요?


[] 남은 자재라 해 자재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문제가 되는 자재를 사용하면 집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자재를 사용하면 안 되겠죠. 잘 못된 자재는 버리고 모자라는 자재는 당연히 새로 구입해 집을 지어야 합니다.


전원주택과 전원생활은

농업회사법인 ()오케이시골 김경래 대표의 기고로 이루어집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xn--939at9l2by23bn1c6tg9pej6j.com/news/view.php?idx=144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블로그배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